우크라이나 전쟁 기간에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보다 더 많은 포탄을 쐈던 건 2023년 여름 대공세뿐이었다. 우크라이나는 하루 평균 7천 발을 쏟아부었다.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야 했던 젤렌스키는 조급했다. 미국과 유럽의 관심에서 멀어졌고, 그에 비례해서 전쟁물자 지원도 줄어들었다.
2023년 여름이 지난 뒤 우크라이나는 하루 평균 2천 발 정도의 포탄을 사용했다. 반면 러시아는 하루 평균 1만 발 이상의 포탄을 사용했다.
원래 러시아는 내구도가 좋다는 걸 알았지만, 역시 전쟁이 터지니 그 저력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벨라루스부터 북한까지 긁어 올 수 있는 포탄들을 다 긁어모아 우크라이나 전선에 아낌없이 쏟아붓고 있다.
이 부족한 포탄을 보충하기 위해 우크라이나가 들고나온 것이 드론이다. 우크라이나 국방부가 프로파간다를 위해 뿌리는 수많은 드론 관련 영상들은 반대로 말하면,
“포탄이 부족하다”
는 뜻이다. 포탄이 부족하니 자폭 드론을 날려 버틴다. 즉, 전술적으로 드론을 활용하는 게 아니라 드론 활용을 ‘강요’ 받고 있다. 이 모습 자체가 우크라이나가 수세에 몰렸다는 걸 의미한다. 공세를 위해서는 화력을 집중해 전선을 뚫어야 하는데, 그럴 여건이 안 된다.
지난 8월, 러시아 국경 근처에서 소련제 전차를 운전 중인 우크라이나 군인
출처 –(링크)
자폭 드론은 화력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침투하는 적을 요격한다. 러시아군 탱크나 장갑차를 향해 날아가는 드론은 치고 들어오는 적을 막아낸다. 즉,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을 끌어들여 싸우는 중이다.
물론, 우크라이나가 드론을 사용해 전술적으로 많은 이익을 본 건 맞지만, 드론으로 전쟁을 끝낼 수는 없다. 동부 회랑을 뚫기 위해서는 드넓은 참호 지역을 뚫고 지나가야 하는데, 이걸 받쳐 줄 화력이 없다. 1차 대전 당시 그때와 똑같은 상황이다. 참호를 파고 버티는 이들을 향해 준비 포격을 하고 돌진해야 하는데, 그럴 포탄이 없다.
우크라이나군이 반전을 노리겠다며 러시아의 쿠르스크까지 밀고 올라갔지만, 그 이상은 보여주지 못했다. 서울시보다 약간 더 큰 지역인 쿠르스크를 치고 올라간 것까지는 좋았지만, 러시아의 반격으로 점령지의 절반 이상을 빼앗기며 빛이 바랬다. 애초에 체급이 다르다.
가만히 내버려두면, 우크라이나는 이길 수 없다. 아니, 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유럽의 지원까지 끊어지면 우크라이나는 망할 수밖에 없다.
쿠르스크 내 북한군 훈련영상 캡처
출처 – (링크)
미국조차 슬슬 등을 돌리려는 상황이다. 그럼, 결국 전쟁은 끝을 향해 가게 된다. 당장 물주가 전쟁물자를 보급하지 않는데,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지속할 수 있을까? 물밑 협상이 오갈 수밖에 없고, 실제로 그런 움직임이 보인다. 지난여름 젤린스키가 러시아와 협상을 할 의사가 있음을 내비쳤고,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평화 협상에 대한 의사를 내비쳤다.
결정적으로 우크라이나 군의 쿠르스크 공세가 러시아와의 협상을 위한 ‘재료’였음이 우크라이나 측에서 나왔다. 미하일로 포돌라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보좌관이 쿠르스크 공세에 대한 이유를 X에 올렸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영토에 관심이 없다. (중략) 러시아를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야 한다.”
즉, 평화 협상을 위해 쿠르스크를 치고 이를 지렛대 삼아 협상테이블을 꾸려 보겠다는 것이다. 이런 긍정적인 사인은 가시적인 협상으로도 보인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서로의 에너지 시설에 대해서는 공격하지 않기로 상호 협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전쟁이 끝물로 들어서고 있다.
1968년의 북한
1968년 1.21사태 당시생포된 김신조
1968년, 북한은 부지런히 한반도에 긴장 상황을 만들었다.
…
중략
…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딴지일보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ddanzi.com/82386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