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에서 시작하는 제주도 수학여행

제주국제공항 국내선 도착장은 왁자지껄한 고등학생들로 발 디딜 틈조차 없다. 서울과 대구, 부산, 광주, 군산 등 전국 방방곡곡에서 모여든 아이들이다. 학교마다 2학기 중간고사가 끝난 10월 중순은 수학여행의 대목이다. 춥지도 덥지도 않은 쾌청한 가을 날씨도 한몫한다.

넓은 주차장은 줄지어 선 대형 버스들이 하늘을 가리고 있다. 버스 사이의 통로가 길 구실을 한다. 비켜서라는 버스의 경적과 인솔 교사들의 호루라기 소리가 가을 햇살을 찢을 듯 요란하다. 언제 오든 시끌벅적함이 제주의 첫인상이지만, 눈살을 찌푸리는 이는 찾아볼 수 없다.

여전히 제주도는 고등학교에서 가장 선호하는 수학여행지다. 해마다 수학여행 관련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지만, 최근 주춤해졌다고는 하나 너끈히 과반의 지지를 받는 곳이다. 제주도가 지닌 특유의 이국적인 이미지 덕이다. 제주도는 ‘해외’라며 너스레를 떠는 아이들도 있다.

첫 코스는, 당연히 제주 4.3 평화공원이다. 미래세대로서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교훈을 가슴에 새기며 수학여행을 시작하는 건 나름 뜻깊은 일일 터다. 제주도를 ‘평화의 섬’으로 호명하는 것도 민간인 학살로 점철된 제주도의 핏빛 현대사를 잊지 말자는 취지다.

아뿔싸, 가는 날이 장날이었다. 제주 4.3 평화공원이 첫째 주와 셋째 주 월요일이 정기 휴무일이라는 점을 깜빡했다. 기실 공공 도서관과 박물관, 미술관 등이 대개 월요일 문을 닫는다는 건 상식에 가깝다. 출발 전에 알게 된 게 그나마 다행이었다.

기념관을 둘러본 뒤 울컥한 마음으로 만나게 되는 ‘백비’의 감동을 전하고 싶었다. 진상규명이 되고 희생자와 유가족의 명예가 회복되는 날, 비로소 이름을 새겨 일으켜 세울 거라는 의미를 들려주려 했다. 누구든 그 앞에 서면 ‘소리 없는 울부짖음’이라는 형용모순을 수긍하게 된다.

주차장에서 기념관 가는 길, ‘비설’이라는 이름으로 세워진 조형물도 직접 눈으로 확인시켜 주려 했다. 당시 갓난 어린아이를 품은 채 토벌대의 총에 맞아 숨진 스물다섯 살 어머니의 실화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이는 교과서 속 제주 4.3을 다룬 단원의 삽화로 수록되어 있다.

또, 끝이 보이지 않는 희생자들의 묘비와 마을 이름과 함께 새겨놓은 희생자들 이름의 행렬도 꼭 보여주고 싶었다. 몇 날 며칠을 읽어도 다 읽어낼 수 없는 그 많은 위패 앞에 선 아이들의 표정을 보고 싶었다. 제주 4.3 평화공원의 묘비 위엔 늘 까마귀 떼가 꺼이꺼이 울었다.

서둘러 다른 답사지를 수소문해야 했다. 실상 제주도 전역이 4.3 유적지이고 웬만한 마을마다 위령비가 세워져 있지만, 100명이 넘는 아이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곳이 잘 떠오르지 않았다. 사견이지만, 적어도 제주 4.3을 주제로 한 답사는 한 학급 규모를 넘어서면 곤란하다.

삭막한 아이들의 가슴을 덥히려면, 사실로서의 역사로만 접근해선 효과가 떨어진다. 실화에 기반 한 이야기를 덧입혀야 아이들의 귀를 쫑긋 세울 수 있다. 그러자면, 제주 4.3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 제격이다. 제주 출신 현기영 작가가 쓴 <순이 삼촌>을 먼저 떠올린 이유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72601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