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 오수 남면 시골길의 역사 문화 탐방

가을 들녘이 황금빛으로 물드는 10월 중순의 주말(12일 토요일)에 임실 오수와 남면 고향 시골길을 가을바람 따라 성큼성큼 걸었다. 오수 의견설화 발상지 옆의 의견공원을 출발하여 군곡마을, 봉천마을과 오수역(현재)을 거쳐 총 11.7km(3시간 30분)의 시골길 걷기 여정이었다.

임실 오수는 예로부터 이 지역의 교통과 문화의 중심지로 시대에 따라 이곳을 통과하는 길(도로)이 차례로 발달하였다.

이날 고향 시골길 걷기를 통하여 조선 시대의 오수역참을 통과하는 통영별로(統營別路)의 옛길 흔적, 근대화 시대의 신작로, 전주 남원 간의 17번 옛 국도와 현재 국도, 전라선 옛 철도 선로의 흔적, 순천완주고속도로와 현재 KTX가 달리는 철도 선로 등 6가지의 시대에 따라 진화한 여러 길을 확인하고 이 지역의 역사 문화의 이야기를 찾아보고 싶었다.

천 년의 유서 깊은 신라 시대 오수개 설화를 바탕으로 ‘오수’ 지명이 생겼고, 고려 시대 이곳에 오수역(역참)이 운영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그 기능이 확대되어 오수역( 도찰방역, 역참)으로서 멀리 남해안의 여수까지 많은 역참(驛站)과 역도(驛道)를 관장하였다.

오수 의견설화의 발상지인 오수천의 상리 마을에서 군곡 마을까지 2.8km의 고향 시골길 걷기 첫 구간을 출발하였다.

임실 오수에는 오수역(獒樹驛)이 세 곳 있다. 첫째 오수역은 조선 시대의 교통 통신제도였던 역참으로 중앙과 지방 관아의 공문을 전달하였고, 관리들이 부임하거나 여행할 때 다음 역참까지 필요한 말을 마패를 보고 공급하였다. 조선 시대의 역참 제도는 1895년에 폐지되었고, 현재는 오수 역참지(驛站址)의 비석만이 남아 있다.

둘째 오수역은 철도역이다. 이 지역을 통과하는 조선 시대 통영별로의 길을 따라 신작로가 설치되고, 철도가 부설되어 1931년에 전라선 오수역이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제 동물인 말을 교통 수단으로 하는 역이 아니라, 증기기관차인 철마가 철길을 달리는 시대가 되고 오수역은 70년 동안 전라선 기차역으로 기능하였다.

이 오수역(구역)은 2004년에 전라선 선로 직선화와 전철복선화 공사가 끝나고 서쪽으로 시가지를 벗어나 500m 이동하여 셋째 오수역 시대가 열리고 KTX 열차가 달리고 있다. 오수역(구역)은 옛날 역사와 선로를 보존하고 디젤 기관차와 객차가 전시물로서 서 있다.

남악 교차로와 남악 마을을 지나고 산골짜기를 타고 올라가서 군곡 마을에 도착하였다. 군곡 마을은 이곳 산줄기가 군신조회(君臣朝會, 임금과 신하가 아침에 조회함)의 명당 형국이어서 군지실이라고 군곡 마을이 되었다고 한다.

군곡 마을에서 봉천 마을까지는 2.7km 구간이다. 그런데 이 구간은 길을 걸으면서 고개를 넘고 하천 교량을 건너고 황금 들녘의 논길을 지나며 자연과 조화로운 풍경을 이루는 6가지 길의 형태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군곡 마을에서 고갯길(방고개)을 오르면 고갯마루에 육중한 콘크리트 기둥이 서 있고, 그 위에 도로 상판이 올려져 순천완주고속도로가 달리고 있다. 둔남천 교량을 앞두고 들녘을 전라선 고가 선로 위로 KTX 열차가 달리고 있었다.

전체 내용보기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오마이뉴스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70480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