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대통령'이 연임됐다 : 본질적인 포인트를 놓친 한국 언론

한국 언론이 놓친 최근 유럽 뉴스 포인트

“유럽과 논의하려면 누구에게 전화해야 하나?”

1970년대 미국의 국무장관이었던 헨리 키신저가 한 말이다.

사진_1.jpg

1960-70년대 세계 외교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2023년 100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출처-<로이터>

그는 20세기 가장 유명한 외교관 중 하나다. 이런 그가 한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국제 정치의 공간 혹은 외교 현장에서 유럽(지금은 유럽연합)이라고 하는 상대가 얼마나 독특한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

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대통령 또는 국무장관이 한국과 주요 사안에 대해 긴밀하게 논의해야 할 경우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상대는 한국 대통령일 것이다. 그러나 1970-80년 당시에는 미국 국무장관 입장에서 유럽과 관련된 사안을 논의하기 위해서 누구에게 연락을 해야하는지 분간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 사안에 대해 유럽 국가들과 논의해야 하는데, 프랑스 대통령이나 독일 총리같이 주요 국가의 수장에게 연락해야 하나? 아니면 유럽공동체 기구의 고위 관료에게 연락해야 하나?”

특히, 정치·군사와 같은 복잡하고 어려운 사안일수록 더욱 그렇게 느꼈을 것이다.

하지만 키신저가 지금 미국 국무장관이라면, 유럽과 논의하기 위해 전화할 상대를 고민할 필요가 없다. 적어도 앞으로 5년간 ‘폰 데어 라이엔(Ursula von der Leyen)’에게 전화하면 된다.

연합뉴스 폰 데어 라이엔.jpg

지난 18일, 그녀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위치한 유럽의회에서 유럽연합 집행위원장(European Commission President) 연임에 성공했다. 무기명 방식(secret ballot)으로 진행된 투표에서 그녀는 총 719명의 유럽의회 의원 가운데 401명에게 선택받았다. 이번 투표에서 가결 요건은 과반인 360표였는데, 41명의 선택을 더 받은 셈이다.

지난 2019년 당시 9표 차이로 가까스로 집행위원장에 선출된 것을 감안하면, 그녀의 정치력이 어느 정도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진_2.jpg

유럽의회에서 진행된 표결에서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연임에 성공한 뒤 기뻐하고 있다.

출처-<뉴시스>

워낙 이슈가 많은 요즘이라 이 사실을 모르는 독자가 많겠지만, 국내 다수 언론이 이 사실을 보도했다. 다만, 기사에서 아쉬웠던 점은, 그녀가 ‘여성’이라는 다소 비본질적인 부분에 집중하여 보도했다는 것이다.

사진_3_연합뉴스.jpg

출처-<연합뉴스>

사진_3_경향신문.jpg

출처-<경향신문>

사진_3_뉴시스.jpg

출처-<뉴시스>

예를 들어, 그녀가 의사 출신이자 7남매를 둔 ‘만능 워킹맘’이라거나, 2013년 독일의 첫 ‘여성 국방장관’으로 지명되었다거나, 또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66년 역사에서 연임에 성공한 첫 여성이라는 점 등이다.

물론 이 같은 부분이 시사하는 바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보다 중요한 포인트는 다음의 것들이다.

‘본질적으로 유럽연합은 무엇인가’

‘유럽 정치의 구조는 어떠한가’

‘그 구조에서 그녀의 연임은 향후 유럽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EU, 상상력의 산물

유럽연합(EU)은 1952년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며 계속 변해왔다. 지금도 변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정치학이 낳은 상상력의 산물이다.

요즘 사람들은 언론을 통해 유럽연합을 쉽게 접하기 때문에 유럽연합이 익숙하기도 하고 마치 예전부터 있었던 국가(state)처럼 느껴질 것이다.

깃발.jpg

이 유럽기도 원래 있던 듯

자연스럽게 느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유럽연합은 불과 30년 전인 1992년 마스트리히트 조약을 통해 시작되었다.


중략

기사/이미지 원본 출처 : 딴지일보 RSS Feed
전문 보러 가기 : https://www.ddanzi.com/815812652

사용자 리뷰:
[Total: 0 Average: 0]